반응형

취약점 4

HEVD - 1. Environment Setup

오늘은 HEVD (HackSystems Extreme Vulnerable Driver) 풀이를 위해, 환경 세팅하는 과정을 적어두었다. 여러번의 환경 구축 시도 끝에, 현 시점(2023년) 가장 쉬운 환경 구축 방법을 알아내었으니, 다른 분들은 이 글을 보고 많은 도움을 얻길 바란다. 이 방법을 사용하면, Debugger VM과 Debuggee VM 두 개를 Clone해서 설치하지 않고 Host와 Debuggee VM만 있다면 원활한 커널 디버깅이 가능하게 된다. 굳이 HEVD를 분석하는 목적이 아니더라도, 기타 드라이버를 분석할 때 이 글에 적혀있는대로 환경 구성을 하면 쉽게 될 것이다...!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. - HEVD : https://github.com/hacksysteam/Hack..

[Fuzzing101] Exercise 2 - libexif (CVE-2009-3895, CVE-2012-2836)

안녕하세요, comalmot 입니다. 오늘은 Fuzzing101 Exercise 2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지난 Exercise 1이 페이스북에 올렸더니 조회수가 아주 쭉쭉..올라 기분이 너무 좋더라구요~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Exercise 2 풀이도 준비해봤습니다...! 테스트 환경 Exercise 1을 풀 때와 같습니다. OS : Ubuntu 20.04.2 LTS RAM : 4GB HDD : 32GB VMWare Workstation 16 Pro 오늘 퍼징을 통해 발견할 취약점은 두 개입니다. CVE-2009-3895 libexif 0.6.18 버전의 exif-entry.c 파일에 있는 exif_entry_fix 함수에서 발생하는 Heap 기반 Overflow 취약점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, DoS..

[Fuzzing101] Exercise 1 - Xpdf (CVE-2019-13288)

안녕하세요, comalmot입니다. 오늘은, github에 있는 Fuzzing101 Repo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따라가면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우선, 이번 Exercise 1에서는 Xpdf라는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퍼징을 수행하게 됩니다. 테스트 환경 OS : Ubuntu 20.04.2 LTS RAM : 4GB HDD : 32GB VMWare Workstation 16 Pro 우리가 퍼징을 통해 발견하게 될 CVE-2019-13288이 어떤 취약점인지 확인해봅시다. CVE-2019-13288 CVSS Score : 4.3 Xpdf 4.0.01에서 Parser.cc의 Parser::getObj() 는 공격자가 의도적으로 제작한 파일을 통해 "무한 재귀"를 일으킬 수 있고, 공격자는 원격으로 DoS 공..

CVE-2017-11882 분석

안녕하세요, comalmot입니다. 오늘은 CVE-2017-11882를 분석하려고 합니다. 취약점 소개 CVE-2017-11882 CVSS Score : 9.3 영향을 받는 프로그램 : Microsoft Office 제품군 중 CVE-2017-11882 관련 업데이트를 받지 않은 모든 버전 (Microsoft Office 365, Office 2016, Office 2013, Office 2010, Office 2007 등) 취약점 타입 : 오버플로우로 인한 메모리 커럽션 EQNEDT32.EXE EQNEDT32.EXE는 구버전 Microsoft Offie가 사용하던 Microsoft Equation 3.0 Object의 호환을 위해 Microsoft가 Office에 남겨놓은 기능으로, 현재 수식편집기와 ..

취약점 2021.03.31
1